2016년 2월 19일 금요일

Linux RPM 명령어..

참고로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...

즉 redhat에서 제공하는 패키지 관리용 프로그램임.

1) 현재 설치된 package 확인
rpm -q 패키지이름

예) rpm -q gcc

근데 이건 패키지 이름 모르면 쓰기 힘듬. 보통 패키지 이름 일부만 알거나 하지..
그래서 쓰는게
rpm -qa
이건 OS에서 설치된 모든 패키지가 나온다. 엄청 길 수도 있다
그래서 보통

rpm -qa | grep 내가아는이름

해서 내가 아는 일부 이름으로 검색한다.

2) 패키지 삭제

rpm -e 패키지이름

지우고나서 -q 로 확인하면 된다.

3) 패키지 설치

rpm -i 나 -U를 쓰는데...
-i는 설치의 의미이고 -U는 없으면 설치하고, 있으면 Upgrade한다.
그래서 보통 -U옵션을 가장 많이 쓴다.

설치하고 싶은 rpm 을 다운로드 받고
rpm -Uvh 설치할rpm

하면 끝~

근데 의존성문제가 생길 수도 있는데.. 그건 해당 rpm 으로 여기저기 알아보고 하면 된다.

이미 설치된 rpm 의 의존성은 rpm -qR 패키지이름 으로 확인 가능하다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